안녕하세요, 콤비 치과 입니다.
오늘은 복합레진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레진 재질은 여러 가지 이유로 치아에 손상이 갔을 때 해당 부위를 깨끗하게 치료 하고 수복을 하는 과정에서 쓰이는 재료 중에 하나로 치아 색상과 비슷하여 심미성이 좋고 강도가 우수한 편이며 치아와 잘 결합하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현재 세라믹 재질과 더불어 가장 많이 쓰이는 수복 재질 입니다. 형태가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재료를 혼합하여 물리적인 성질을 좀 더 강화시킨 것을 복합 재료라고 하는데 복합레진 역시 이렇게 강화 성분 함량을 늘려서 예전에 비해 강도를 많이 개선해 주었지요.
중합, 즉 결합을 시키는 방법으로는 빛을 이용하는 방법과 화학적인 방법, 이중 중합 방법 등이 있는데 보통 치아 수복 시에는 광중합형 복합레진 을 많이 사용하며 이것은 광중합형조사기로 빛을 쪼여 빠르고 단단하게 굳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전에는 어린이 치아 충치 치료 시에 보험처리가 되었던 재료는 현실적으로 많이 쓰지 않던 아말감 이라는 재질이었기 때문에 레진 재질을 사용하려면 비용 부담이 커지는 부분이 있었지만 2020년 부터 만 12세 이하 어린이 충치 치료에 건강 보험 혜택 범위가 달라져서 레진 재질을 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니 치과 진료를 받을 때 자신이 해당 사항이 있는지를 자세하게 알아보시고 도움받아 보셨으면 합니다.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는 복합레진 재질이나 우식의 범위가 큰 경우에는 이렇게 이 때우기 방식으로 손상이 일어난 부위를 삭제하고 직접 수복하는 방식이 어려운 경우가 있게 돼요. 이러한 경우 다른 재료를 사용하거나 기존 레진을 보다 강화한 형태인 인레이, 온레이 치료를 통해 수복이 가능해 집니다.
보통 이 때우기 재질로 많이 쓰이는 레진은 예를 들어서 앞니가 금이 가거나 조금 조각이 떨어져 나갔을 때, 또는 사이가 벌어진 경우에 이를 수복해 주는 과정에서도 쓰일 수 있어요. 앞니는 사람이 입을 벌렸을 때 가장 잘 보이는 치아이기 때문에 치아 색상과 비슷한 재질로 기능성 뿐 아니라 심미성을 중요하게 생각해서 수복을 해줘야 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지요. 물론 손상의 정도가 커지면 레진으로 조각난 부분을 메꿀 수는 없고 라미네이트 나 올세라믹 처치가 필요할 수도 있겠지만 복합레진 역시 치아 색상과 비슷하며 내구성 역시 떨어지지 않으므로 이런 경우에도 많이 쓰이는 것이에요.
그 밖에도 잇몸 퇴축 등으로 인해서 이 뿌리가 드러났을 때 너무 이시림 현상이 심하다고 하면 드러난 상아질을 덮어서 보호해 주는 처치를 해 줄 수도 있는데 이 때 치아 색상으로 인해서 크게 드러나지 않는 복합레진 재질을 이용할 수도 있어요.
지금까지 알아본 내용을 통해 만약에 충치나 이빨 깨짐 등에 대처해야 할 경우가 생긴다면 최대한 시간을 지체하지 말고 빨리 치과로 가서 각자의 상황에 대해서 면밀하게 검토해 보시고 그에 맞는 처치를 해 주셨으면 합니다. 만약 아주 크게 사고가 나서 앞니가 뽑히게 되는 등의 큰 손상이 있게 되면 임플란트 시술을 받아야 할 수도 있는데요, 타고난 자연 치아 보다는 못하겠지만 현대에는 임플란트 관련 기술이 많이 발전하여 식립과 사후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보다 오랜 기간 동안 자신의 치아와 마찬가지로 건강하게 사용할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네요.